fbpx

중국, 소비 고급화 추세 가속

Posted by NEOKOREA
Category:

□ 중국, 먹고(식) 자는(주) 분야 중심으로 소비 고급화 추세 가속화

ㅇ 중국 국가 통계국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현재 중국 소비자들은 ‘의식주(59.1%)’에 가장 많은 지출을 하며 향후 여행, 헬스케어 등 서비스 분야에 지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 2018년 상반기 체육, 건강, 여행 등 서비스 소비가 증가 추세. 1인당 평균 체육활동 비용은 39.3%, 의료서비스 24.6%, 숙박비 37.8%, 교통비 22.8% 증가

2018년 상반기 중국 소비자 1인당 소비 지출 비중

자료원: 중국신문망(中国新闻网)

□ 소비 고급화 추세 분석

ㅇ 중국 소비자는 상품의 ‘품질’을 구매 시 주로 고려하며 거주 도시별로 선호제품이 분화되고 있음.

– 1, 2선 도시*는 개인 기호제품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주로 소형가전제품(전동칫솔 등) 및 운동건강제품임.

– 3, 4선 도시**는 좋은 품질이 요구되는 일상과 밀접한 생활용품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주로 영유아제품, 생활용품이 빠르게 성장함.

도시 등급별 쾌속 성장 제품

자료원:易观智库

* 1선 도시: 정치, 경제 등 사회활동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영향력이 큰 대도시

* 2선 도시: 성도(省会) 도시, 동부 지역의 경제 도시 혹은 경제적으로 발달한 지역의 중심 도시

** 3선 도시: 도시규모, 인구 수, 경제발전 수준과 GDP 총액 등 다수의 지표를 종합했을 때 전략적 의의가 있고 경제적으로 발달하고 경제규모가 큰 중상급 도시

** 4선 도시: 경제규모, 경제 발전 속도 및 교통 인프라가 평균 수준의 중급 도시

– 중국 소비자 34%는 상품의 품질만 고려, 66%는 품질과 가격 모두 고려함.

중국 소비자 상품 구입 시 고려 요소별 비중

자료원:易观智库

ㅇ (가정용품) 주방, 욕실용품 중심으로 고급화 경향을 보이는 가운데 스마트 기능 탑재한 제품도 수요 확대

– 대중들의 수요는 주로 가정용품이며, 61%의 소비자는 가정용품을 고급화할 의향이 있음.

– 주방과 화장실이 차지하는 공간은 크지 않고, 보내는 시간도 많지 않지만 소비자들은 이 공간을 중시해 구매 횟수의 절대 다수를 차지함.

– 주방용 소형가전제품이 소비 고급화 부문 1위, 식품이 그 다음을 차지함. 주방용 대형가전제품은 26%로 5위에 그침.

– 스킨로션, 세면도구와 청소도구가 욕실용품 소비 고급화 제품 톱 3에 오름.

주방 및 욕실용품의 소비 고급화 추세

자료원: 易观智库

ㅇ (건강 관련) 남녀 불문하고 몸매 가꾸기 열풍이 불면서 헬스용품을 중심으로 고급화가 진행 중임.

– 헬스 및 여행 분야에 새로운 소비 고급화 현상이 나타남. 특히 헬스는 대중들 인식 속 품격 있는 삶의 새로운 ‘기준’이 됐음. 이는 장비, 패션, 보조식품 등 전면적 소비 상승을 가져옴.

– 헬스용품 소비 중 운동복 장비와 건강보조식품이 현저히 증가함. 대중들에게 헬스는 체중감량뿐 아니라, 하나의 건강한 생활방식으로 자리잡음.

– 여성의 운동복 및 장비 구입 증가 속도가 남성보다 현저히 높고, 남성은 운동 보조식품에 더 관심이 많음.

– 전문화와 유행화는 건강소비 고급화의 가장 중요한 2가지 특징임.

건강 관련 장비 및 영양품 2018년 상반기 성장률

자료원: 易观智库

ㅇ (사무환경 개선) 구매력 있는 소비자 중 직장인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간식부터 방석, 소형전자제품 등 다양한 제품에 대한 수요 확대가 기대됨.

– 노동시간은 하루 최소 3분의 1이상 차지해 사람들은 쾌적한 업무환경 조성에 관심이 많음.

– 남성은 키보드, 마우스, 이어폰 등 컴퓨터 부품에 관심도가 비교적 높은 반면, 여성은 상대적으로 자신의 신체, 소형가전제품, 간식거리, 화기애애한 사무실 분위기를 중시함.

사무실용품 소비 고급화 경향

자료원: 易观智库

□ 시사점

ㅇ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중국 소비자들의 고급화 경향이 나날이 뚜렷해지고 있으며, 특히 먹고 자는 분야의 소비가 향후 성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됨.
– 상무부 연구원 국제시장 연구소 바이밍(白明) 부소장은 “소득은 소비 고급화의 기본이며 시민 소득의 안정적 증가, 소비능력의 향상, 소비환경의 개선은 소비 고급화 추세를 더욱 굳건하게 한다.”고 함.

ㅇ 중국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들이 연령, 거주도시, 트렌드별로 다양하게 분화됨에 따라 한국 기업들은 어느 때보다 ‘중국 소비자 맞춤형’ 전략에 대해 많은 고민이 필요할 것임.
– 안구보호, 피로회복, 에너지 보충제를 포함한 중국 직장인을 위한 건강식 등을 고려해 볼 수도 있으며, 최근 수요가 늘고 있는 소형가전에 주목해 전동칫솔 등 제품 수출도 고려할 수 있음.

자료원: 中国新闻网, 易观智库 및 KOTRA 칭다오 무역관 자료 종합

답글 남기기

This website uses cookies and asks your personal data to enhance your browsing experience. We are committed to protecting your privacy and ensuring your data is handled in compliance with the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